paint-brush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밈과 서사 전략: 종합 연구~에 의해@memeology
1,030 판독값
1,030 판독값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밈과 서사 전략: 종합 연구

너무 오래; 읽다

이 기사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중 소셜 미디어와 밈의 사용을 조사하고,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청중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양측이 사용한 전략을 검토합니다. 사이버 영향 캠페인, 미디어를 통한 국가 건설,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프레임워크를 논의하고 온라인 활동과 정치 담론에서 밈의 역할을 조명합니다.
featured image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밈과 서사 전략: 종합 연구
Memeology: Leading Authority on the Study of Memes HackerNoon profile picture
0-item

저자:

(1) 이탈리아 ISI 재단의 Yelena Mejova;

(2)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Università degli Studi di Torino)의 Arthur Capozzi;

(3) Corrado Monti, CENTAI, 이탈리아;

(4) Gianmarco De Francisci Morales, CENTAI, 이탈리아.

링크 표

소개

배경 및 관련 작업

행동 양식

결과

토론 및 참고자료

2 배경 및 관련 연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인터넷 인프라의 발전으로 전 세계 청중과 실시간 고해상도 미디어 공유가 가능해지면서 소셜 미디어가 널리 채택되는 시기에 일어났습니다. 이처럼 전장에서의 행동과 우크라이나 내외의 반응은 Facebook, Twitter, Instagram 및 기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스트리밍됩니다. 이 지속적인 스트림은 또한 주류 미디어 소스에 대해 "위험한 사건에 대한 현장 실시간 보고를 얻는 데 필수적인 메커니즘임이 입증되었습니다"[61]. 2010년대 초 아랍의 봄과 달리 우크라이나는 소셜 미디어를 차단하지 않고 대신 공식 정부 계정[56]과 비공식 “IT 군대”[59]를 통해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첫 번째 RQ는 그들이 제작하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몇 가지 이론적 틀이 그러한 존재의 틀을 잡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첫째, 러시아 측에 대한 서사적 대안을 홍보하려는 사이버 영향력 캠페인입니다[3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 이러한 사이버 전쟁은 2014년 크리미아 합병 이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 역사적 사건, 테러리즘, NATO, 그리고 세계 경제 [5]. 상황화를 넘어 양측은 상대방의 메시지를 직접 다루고 인지된 거짓 또는 "가짜"에 대응합니다.[7] 이 작업에서 우리는 내러티브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유명한 우크라이나 계정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연구합니다[18]. 두 번째 프레임워크는 국가 구축 또는 국가 브랜드화 프레임워크로, 원래 정부(전자)와 홍보 캠페인 관리자(후자) 영역에서 분리된 두 프로세스입니다. 이제 그들은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문화 유물을 전파하는 단일 프로세스로 통합되었습니다. Bolin과 Ståhlberg [4]는 우크라이나의 최근 캠페인이 "EU 가입, 무기 전달에 대한 지지를 높이는 것이 목표"이며 "결단력, 용기 및 책임감 측면에서 우크라이나의 역량"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제 및 국내 관객. 이러한 자기 홍보는 소프트파워(또는 셀카 외교[45])의 활용으로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국가가 유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문화, 가치, 정책을 포함한 자원의 비축에 의존하는 것입니다[48]. 이러한 소프트파워의 실효성은 국가 커뮤니케이션의 성공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본 연구의 두 번째 RQ이다. 세 번째 프레임워크는 위기 상황에서 “이해관계자 지원을 촉진하고 관계를 구축하는” 커뮤니티 구축 프레임워크입니다[11, 20]. Jiang과 Luo [32]에 따르면, 성공적인 위기 대응은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 대중과의 공감적 참여, 콘텐츠 전달 및 지속적인 멀티미디어 강화 대화를 통해 청중에게 다가가는 데 달려 있습니다. 실제로 Bolin과 Ståhlberg가 우크라이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목적에 대해 옳다면 이 커뮤니케이션의 대상 청중은 국내 미디어 사용자뿐만 아니라 잠재적 동맹국 및 지지자까지 포함됩니다. 우리 연구의 세 번째 RQ는 우크라이나 트위터 계정에서 생성된 콘텐츠의 국제적 도달 범위를 고려하고 해당 국가에서의 인기와 해당 국가 정부가 취한 조치를 연관시킵니다.


2014년 크림 반도 합병 이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소셜 미디어 존재는 통신, 미디어 연구, 인간-컴퓨터 상호 작용 분야의 연구원들에 의해 면밀히 조사되었습니다. 돈바스(Donbass) 지역의 분리주의 운동은 서사적 전쟁을 격화시켰습니다. #SaveDonbassPeople이 포함된 트위터 메시지에 대한 연구는 친우크라이나 측과 친러시아 측 모두 역사적, 지리적, 종교적, 인종적, 정치적이라는 다섯 가지 맥락적 프레임을 사용했음을 보여줍니다[43]. Makhortykh와 Sydorova에 따르면, 친러시아 측 사람들은 "감정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잠재 청중의 연민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어린이 사진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저자는 추측합니다. 마찬가지로 2014년 러시아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 VKontakte에서 상황별 프레이밍이 연구되었습니다[44]. 친우크라이나 사용자들은 이번 분쟁을 지역 반군에 대한 제한된 군사 행동으로 규정한 반면, 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를 "우크라이나 동부의 러시아 인구에 대한 전면전"으로 규정했습니다. 저자들은 그러한 서로 다른 프레임의 사용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Donbass 전쟁의 결과에 대해 서로 다른 기대를 형성하게 만들었다"고 추측합니다[44]. 본격적인 러시아 침공 이후 여러 데이터 세트가 연구 커뮤니티에 제공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Chen과 Ferrara[10]는 다양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키워드가 포함된 트위터 게시물을 수집했습니다. 이러한 키워드에 대한 참여 규모는 침입 직후 최고조에 달하고 2022년 3월 이후 점차 감소하여 이 주제와 관련하여 플랫폼 사용자의 관심 범위가 제한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온라인 대화에 참여하는 계정에 초점을 맞춰 Hare와 Jones [29]는 2022년 2월 말 트위터에서 지지 표시로 우크라이나 국기를 사용하는 것을 추적합니다. 이러한 표시는 "눈에 띄는 표시"로 구성된 정체성 활동주의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자신을 설명하기 위해 예약된 공간 내의 사회 운동 상징”[29]. 이러한 계정은 동성애를 좋아하며(국기를 표시하는 다른 사람을 팔로우할 가능성이 높음) 미국 민주당 지향적인 메시지를 공유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안타깝게도 자동화된 계정, 즉 봇은 통신 작업의 일부인 경우가 많습니다. Shenet al. [57]은 2022년 러시아 침공이 시작될 무렵 봇 계정의 점유율을 추정합니다. Botometer[64] 도구를 사용하여 트윗의 약 13.4%가 봇에 의해 생성될 가능성이 있음을 식별합니다. 이러한 트윗의 대부분은 친우크라이나 입장을 지지했습니다. 당시 러시아는 시민들의 트위터 접근을 중단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러시아의 독특한 위치로 인해 우리는 이를 우크라이나 트윗의 잠재적인 독자로 제외합니다.


밈이라는 용어는 원래 1976년 진화생물학자인 Richard Dawkins에 의해 [17] 문화적 유물과 신념을 포함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능력이 있는 유전자와 유사한 복제자로 정의되었습니다. 용어 정의의 모호한 특성과 밈의 본질 자체가 "지속적인 돌연변이"라는 사실로 인해 밈 또는 밈학에 대한 연구는 문화 정보 전달 연구에 광범위하게 적용됩니다[34]. 소셜 미디어 시대에 “인터넷 밈”이라는 개념은 도킨의 비유에서 벗어나 추상적인 아이디어 대신 인공물(텍스트, 이미지, 비디오)에 초점을 맞춥니다[39]. 실제로 Reese et al. [52]는 구문적 암시성과 상징성을 포함하여 시각적 매체가 "이데올로기적 메시지를 구성하고 표현하는 데" 특히 적합하게 만드는 속성을 지적합니다. 밈은 수정 및 재공유 가능성으로 정의되므로 우리는 모든 시각적 미디어를 잠재적인 밈으로 간주합니다[67].


텍스트에 비해 인식이 용이하고[54], 어느 정도 모호함[28]이 있기 때문에 밈은 의사소통 채널에 쉽게 침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밈은 소셜 미디어에서 내러티브를 전달하고 진화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되었으며, 따라서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습니다.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특히 밈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63], 2019년 우크라이나 선거[51], 브라질[13] 및 홍콩[21], 독일[3] 및 미국[14]에서 연구되었습니다. , 26] 맨 오른쪽. 지난 10년 동안의 군사적 행동에는 미군[58], 반이슬람 국가 활동가[47], 크리미아 주변의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초기[62]에 의한 밈 기반 문화적 표현이 동반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 군대가 밈을 사용하는 주목할만한 선례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사례입니다[46].


영웅(자비로운, 강한); 피해자 (자비로운, 약한); 악당 (악의, 강한); 그리고 바보 (악의, 약함). 마지막으로 밈의 인기도는 시각적 특징(예: 규모, 텍스트 포함, 주제 속성)을 사용하여 연구되었습니다[41]. 우리는 분석에서 이러한 기능을 컨트롤로 사용합니다.


CHI(Human-Computer Interaction) 커뮤니티는 더 큰 글로벌 연대를 촉진하고 연구자 및 연구 주제의 다양성을 높이는 데 오랫동안 투자해 왔습니다[6]. CHI 커뮤니티가 전쟁과 평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초기 요구는 교육,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반대 세력을 연결하고 전쟁의 공포를 폭로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31].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포함하여 트라우마 처리에 추가적인 관심이 기울여졌습니다[55]. 대부분의 연구가 개인이나 집단의 트라우마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진행 중인 전쟁 트라우마를 처리하는 국가에 대해서도 비슷한 관점을 취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부와 국민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 전달하려고 시도함에 따라 투명성[19], 권한 부여[30] 및 동료 지원[1]과 같은 동일한 설계 원칙이 중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플랫폼 사용자의 지지를 구체화한 리트윗 행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또한 CHI는 전 세계적으로 소셜 미디어와 정치적 담론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Reddit의 시민 참여에서 선동의 역할[49], 기부 캠페인의 온라인 행동주의(“slacktivism”) 참여[40], Facebook의 이민 반대 광고 타겟팅 범위[7]가 밝혀졌습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자 기반은 더 큰 사회를 대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과 가능한 실제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7] 사실 확인자로 자체 식별되는 유명 웹사이트의 예로는 우크라이나의 https://www.stopfake.org 및 러시아의 https://waronfakes.com이 있습니다.


이 문서는 CC 4.0 라이선스에 따라 arxiv에서 볼 수 있습니다.